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0

[DAsP] 4. 데이터 모델링 요약,정리 1. 데이터 모델링의 기본 원칙커뮤니케이션 원칙: 요구 사항은 모든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공표됨은 물론 최종 사용자 지향적으로 분명하게 파악되는 수준으로 작성되어야 함모델링 상세화 원칙: 데이터의 상세화 정도를 제시하고, 조직이 사용하는 정보 구조의 ’최소 공통 분모‘를 제시해야 함논리적 표현 원칙: 모델은 물리적 제약조건 없이 비즈니스를 그대로 반영해야 함. 즉, 논리적 데이터 모델은 특정 아키텍처, 기술 또는 제품 등에 독립적이어야 함  2. 데이터 모델링 정의개념 데이터 모델링: 현실 세계의 다양한 업무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활용하기 위하여 추상화를 통하여 개념 세계에서 정보의 구조와 업무 규칙을 ERD로 표현해 나가는 과정 : 엔터티의 정의를 명확히 하는 것은 바람.. 2025. 3. 24.
[DAsP] 3. 데이터 표준화 요약,정리 1. 데이터 표준화데이터 표준요소에 대한 명칭, 정의, 형식 등을 수립하고 적용하는 것 2. 데이터 표준화 기대효과명칭의 통일로 인한 명확한 의사소통의 증대필요한 데이터의 소재 파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 감소일관된 데이터 형식 및 규칙의 적용으로 인한 데이터 품질 향상정보시스템 간 데이터 인터페이스 시 데이터 변환, 정제 비용 감소  3. 데이터 표준화 원칙 수립 시 고려 사항데이터 명칭은 해당 기업 내 데이터를 유일하게 구별해주는 이름으로 유일성, 업무적 관점의 보편성, 의미 전달의 충분성 요건을 충족해야 함유일성 : 해당 개념을 유일하게 구분해주는 이름이어야 함업무적 관점의 보편성 : 업무적 관점에서 보편적으로 인지되는 이름이어야 함의미 전달의 충분성 : 데이터 명칭은 이름만으로 데이터의 의미 및.. 2025. 3. 24.
[DAsP] 2.데이터 요건 분석 요약,정리 1. 정보 요구 사항사용자가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업무의 개선 사항이나 신규 개발 사항으로 시스템을 통해 기능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요청하는 내용  2. 정보 요구사항 유형별 관리 기준 및 정의유형구분설명외부 인터페이스 요건정의시스템의 모든 입출력에 관한 요건.대외기관으로의 송/수신 입출력 방식이 추가/변경 되었을 경우 발생관리 기준중복성기존에 동일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존재하는지 체크표준 준수도인터페이스 관련된 표준이 존재할 경우, 그에 적합한 형태로 제공해야 함관리 방법항목 이름, 목적 설명, 입력의 원천 및 출력 방향, 유효 범위, 시간, 다른 입출력과의 관계, 데이터 포맷, 최종 메시지 등이 포함되어 관리되어야 함기능 개선 요건정의입력을 받아들여 처리하고 출력을 만들어내는 주요 활동 및 프로세스에.. 2025. 3. 24.
[DAsP] 1.전사아키텍처 이해 요약,정리 과목 1. 전사아키텍처 이해1. EA(Enterprise Architecture)기업의 목표와 요구를 잘 지원하기 위해 IT 인프라의 각 부분들이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되어야 하는가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실제 목적은 기업의 특성이나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음 2. 아키텍처의 3가지 구성요소모델규칙계획 3. 전사의 범위기업의 규모와 구조에 따라 달라짐대규모의 기업은 여러개의 전사로 구성 될 수 있음EA 수립목적에 따라 그 범위를 기업 전체로 할수도 있고 특정 전사로 제한할수도 있음선사는 기업이나 기관과 동일한 범위가 아닐수 있음 4. 전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EA 프레임워크)전사 아키텍처 활동 산출물을 분류하고 조직화하고 유지하기 위한 툴자크만 프레임워크(ZEAF) : 다섯가지관점(planner, .. 2025. 3. 24.
[SQLP] SQL 수행구조 1. Oracle의 데이터베이스 정의 - Database : 물리적인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물리적인 OS 파일의 집합) - 인스턴스 : 공유메모리(SGA)와 이를 액세스하는 프로세스의 집합 2.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프로세스명 설명 SMON (System Monitor) 비정상 종료된 인스턴스 재기동 시 인스턴스 복구 수행, 임시 세그먼트와 익스텐트 모니터링 PMON (Process Monitor) 이상이 생긴 프로세스가 사용하던 리소스 복구 DBWn (Database Writers) 버퍼캐시에 있는 Dirty 버퍼를 데이터파일에 기록 LGWR (Log Writer) 로그버퍼의 내용을 Redo 로그 파일에 기록 ARCn (Archiver) 꽉 찬 Redo 로그가 덮여 쓰여지기 전에 Archiv.. 2024. 3. 20.
[OCP] 1z0-082 문제_6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3. 3.
반응형